바다가 갈라지다
이집트의 왕 '세티 1세'의 제사장은 전투 중에 한 사람이 지도자를 구할 것이며, 그는 이후에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집트를 공격하려고 진을 친 히타이트 군대를 향해, 왕자 람세스와 그의 사촌 모세는 전투를 벌인다. 치열한 전투 중, 모세는 적에 의해 죽기 직전인 람세스를 구한다. 그런데 이미 제사장이 예언이 있었던 터라, 두 사람 사이는 어색해진다. 어느 날 모세는 히브리 노예들을 감독하는 헤게프 총독을 만나기 위해 람세스 대신 피톰으로 파견된다. 헤게프 총독은 노예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것을 우려해, 군대 증원을 모세에게 요구한다. 정확한 사실을 조사하기 위해, 모세는 히브리 노예들을 만나고, 한 히브리 원로를 알게 된다. 모세는 지나친 사치 생활을 하는 헤게프 총독에게 그만하라는 경고를 하고, 도시를 떠나기 전 조사 중 알게된 히브리 원로를 찾아간다. 히브리 원로는 모세가 히브리인이고, 죽음을 피해 어떻게 이집트 왕족이 되었는지 그의 출생 비밀을 말해준다. 모세는 그의 말에 큰 충격을 받는다. 몰래 이 이야기를 엿들은 히브리 노예 두 명은 헤게프 총독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얼마지 않아, 세티 1세는 사망하고 람세스가 새로운 파라오가 된다. 헤게프 총독은 람세스에게 모세의 혈통에 대해 말하지만, 람세스는 처음엔 믿지 않는다. 람세스의 어머니인 튜야 왕비는 모세의 진짜 혈통을 알기 위해 아들인 람세스를 다그친다. 람세스는 모세의 누이임을 부인하는 하녀 미리암의 팔을 자르겠다고 위협하고, 모세는 몸을 던져 그녀를 구한다. 이런 모습에, 모세가 히브리인임을 확신한 람세스는 모세를 추방한다. 추방당한 모세는 미디안에서 지포라란 여인을 만나 결혼하고 아들 게르솜을 낳는다. 몇 년 후, 목자 모세는 폭우에 길을 잃은 양을 구하다 떠밀려 온 토사에 묻힌다. 얼마 후 눈을 떳을 때, 불타는 나무와 함께 한 소년을 만난다. 소년은 자신은 히브리인들을 이집트의 손에서 구해줄 장군을 원한다고 모세에게 말한다. 부상에서 회복한 모세는 히브리인들을 구하기 위해 가족들을 남겨둔 채, 이집트로 떠난다. 이집트에서 모세는 히브리인들과 재회하고, 그들을 해방하기 위해 람세스와 대항한다. 그러나 람세스는 그들의 해방을 거부한다. 모세가 람세스의 목숨을 위협하자 람세스는 모세를 죽일 것을 명령하고, 모세가 발견될 때까지 무작위로 히브리 가족을 죽인다. 모세는 자신의 군사 기술을 이용해 노예들을 훈련, 반란을 일으킨다. 모세에게 하느님의 대리자가 나타나 열 가지 재앙이 이집트에 일어난다고 예언한다. 9가지의 재앙이 이집트 국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줬지만, 람세스는 물러서지 않는다. 열번째 재앙은 모든 맏아들의 죽음이다. 이를 안 모세는 히브리인들에게 양의 피를 대문과 기둥에 칠하게 해서 맏아들의 죽음을 피하지만, 이를 모르는 모든 이집트인들은 파라오 람세스의 아들을 비롯해 맏아들 모두 죽임을 당한다. 망연자실한 람세스는 결국 항복하고, 모든 히브리인들이 떠나는 것을 허락한다. 모세의 안내에 따라, 히브리인들은 가나안으로 가기 위해 탈출한다. 히브리인들이 떠나는 것을 허락한 람세스는 맘이 바뀌어, 그들을 모두 죽이기 위해 군대를 모으고 추격한다. 홍해에 선 모세와 히브리인들은 높은 파도와 거센 물살에 낙담하지만, 차차 바닷길이 열이고 반대편으로 건너갈 수 있게 된다. 히브리인들이 거의 바다를 건넜을 때, 추격하던 람세스와 그의 군대는 다시 닫히는 바닷길의 높은 파도에 의해 모두 몰살된다. 모세는 히브리인들을 이끌고 그의 가족이 있는 미디안으로 돌아온다. 시나이산에서 모세는 죽을 때 율법 십계명을 기록한다.
피라미드는 누가 지었나
.2014년 겨울 한국에서 개봉했다. 첫 주에는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지만, 곧 인터스텔라에 밀린다. 국내에서는 1,000만 달러 조금 넘은 흥행을, 전 세계적으로는 2억 7천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지만, 본전인 2억 8천만 달러에는 못 미쳤다. 이집트, 모로코, 아랍에미리트에서 개봉이 거부 되었다. 이집트 정부는 유대인들이 피라미드를 지었다는 잘못된 인상을 주는 등 '역사적 부정확성' 때문에 상영을 금지 시켰다. 모로코에서는 신의 목소리를 의인화했다는 이유로 개봉 전날 상영을 금지했고, 일부 대화가 편집된 후, 상영됐다.
유대인들의 한 많은 민족사의 일부분이다. 구약성서에 따르면, 이스라엘 민족은 18세기경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 그리고 부인들이 가나안에 살았다고 한다. 야곱의 아들이며 당시 이집트에 고위관료였던 요셉이 가족들과 함께 살 수 있도록 파라오가 이들을 초청하여 이집트로 이주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은 나중에 노예로 전락했고, 기원전 13세기경 모세의 지도하에 이집트를 탈출하여 다시 가나안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에도 유대민족은 중세 유럽에서 민족적, 종교적 이유로 타민족에게 많은 핍박을 받는다. 대표적으로 2차 세계대전 중 히틀러가 저지른 홀로코스트이다. 지금도 중동지역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제는 이웃 국가들과 민족적, 종교적 갈등을 끝내고, 평화로운 국가를 이루기를 기원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