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그리고 '사명'
한 사나이가 거대한 폭포 옆 바위를 오른다. 그는 예수회 신부로서,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 과라니족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그들이 사는 정글로 찾아간다. 그의 이름은 가브리엘. 처음에 그들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서, 음악으로 그의 마음을 표현한다. 원주민들은 가브리엘 전에 찾아온 선교사를 죽이고 강물에 떠내 보내든 등, 그들을 배척하지만, 가브리엘 신부의 음악이 그들의 마음을 움직였는지 신부를 그들의 일원으로 받아들인다. 한편 로드리고 멘도사는 과라니족을 사냥하고 매매하는 스페인 노예상이다. 그는 그들을 붙잡아 노예가 합법인 포르투갈이 지배하는 중남미에 팔아넘긴다. 그런데, 사랑하는 그의 아내가 자기 친동생과 사랑에 빠진 것을 알고, 질투심에 불타올라 결국 그의 동생을 칼로 찔러 죽인다. 정당방위로 처벌은 받지 않지만, 동생을 살해했다는 죄책감으로 깊은 우울증에 빠지고, 식음을 전폐한 채 교회에서 생활한다. 가브리엘 신부는 그런 멘도사를 회개하도록 설득한다. 멘도사는 속죄하기 위해 가브리엘 동료 사제들과 함께, 과라니족이 사는 정글로 간다. 그들이 과라니족에게 도착했을 때, 멘도사가 그들의 원주민 동료를 팔아넘긴 노예상인 것을 과라니족은 알게 된다. 그러나 원주민들은 그를 죽이지 않고, 오히려 자비를 베푼다. 멘도사는 원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평화를 얻고, 성직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한편 과라니족이 사는 지역의 지배권을 놓고, 과라니족이 이 지역에서 계속 살게 해 주자는 신부단과, 이들을 식민 지배하고자 하는 이들은 서로 충돌한다. 이 문제를 중재하기 위해 교황청은 알타미라노 추기경을 이곳에 파견한다. 식민지 지배를 주장하는 측은 원주민들은 미개한 짐승이므로 추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신부들은 원주민도 존엄성을 가진 인간이라며 추기경에게 원주민들이 성가 부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하느님을 찬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같은 서로 다른 주장에 추기경은 종교인으로서, 정치인으로서 깊이 고뇌한다. 가브리엘 신부는 추기경을 과라니족이 사는 정글로 안내하고 그들이 얼마나 하느님을 숭배하며 영적인 생활을 하는지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추기경은 정치적 관계로 어쩔 수 없이 이곳을 떠나라고 명령한다. 과라니족은 떠나는 것을 거부하고 자신들의 땅을 위해 싸우기로 한다. 멘도사와 다른 성직자들도 과라니족의 싸움을 돕기로 한다. 멘도사는 폭력으로 대항하기로 한 것을 가브리엘 신부에게 전하며, 이해를 구하지만, 가브리엘 신부는 사랑만이 하느님의 뜻이라며, 멘도사의 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 다만 그가 목에 걸고 있던 십자가를 멘도사에게 전해주며 신이 허락한다면 멘도사가 승리할 것이라고 말한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과리니족을 섬멸하기 위해 연합군을 파견한다. 선교단과 과라니족은 필사의 항전을 하지만, 연합군에게 지게 된다. 가브리엘 신부는 원주민 여성, 그리고 아이들과 함께 비폭력으로 끝까지 저항하지만 결국 연합군에게 무릎을 꿇는다.
미션 OST '가브리엘의 오보에'
영화 미션 하면, 이 영화의 엄청난 수상 이력과 많은 철학적인 담론보다, 영화 OST중 엔니오 모리코네의 메인테마가 먼저 떠오른다. 뒤늦게 팝페라 가수 사라 브라이트만이 이 곡에 가사를 붙여 노래로 만들기를 원했고, 작곡가인 엔니오에게 허락을 부탁했지만 거절당한다. 하지만 브라이트만은 3년간 지속해서 편지를 보내고 결국 허락을 얻어낸다. 그래서 불후의 명곡 '넬라 판타지아'가 탄생된다. 이 영화의 소재는 실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1641년 음보로레라고 불리는 전투가 8일간 벌어졌는데 이 전투는 예수회가 조직한 총기를 장착한 과라니 군대가 포르투갈인과 투피족을 격퇴한 사건이다. 로보트 드 니로, 리암 니슨, 제레미 아이언스 등 맹배우들의 풋풋한 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폭력 그리고 사랑
사상적으로 논란이 많은 작품이어서, 관련되어 열거되는 단어도 많다. 대표적으로 '백인 우월주의', '서양 중심주의', '기독교 중심주의', '제국주의', '인종주의' 등이다. 배경은 식민지 시대, 그리고 원주민이라는 아직 개화되지 못한 미개한 종족 등장, 그리고 이들은 모두 성가를 합창하는 기독교인이 된다는 다소 무리한 설정. 그런데도 식민지에 눈먼 서양 열강들의 탐욕 등, 부분적으로 할 말 많은 영화임에는 분명하다. 그러나 작품 전체에 일관적인 메시지가 느껴진다. 그것은 폭력과 희생, 그리고 사랑이다. 영화 첫 장면에 한 백인이 원주민의 폭력에 희생되어 십자가에 매단 채 강물에 떠내려간다. 그러나 가브리엘 신부는 이런 원주민에게 사랑으로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얻는다. 그리고, 로드리고는 질투심에 사로잡혀 폭력으로 자기 동생을 죽이지만, 사랑의 힘으로 마음의 안식을 얻는다. 또한 연합군들이 원주민들을 공격할 때, 로드리고는 폭력으로 대항하자고 주장하지만, 가브리엘 신부는 희생과 사랑으로 맞선다. 희생과 사랑!. 다소 진부해 보이는 단어. 그러나 '가브리엘의 오보에 ' 연주곡이 퍼지면, 가슴속에서 피어오르는 전율은 우리가 단지 잊고 있을 뿐, 언제 어디서나 그것은 항상 함께 하고있다는 증거가 아닐까 한다.
댓글